연차 사용 관리 대장 1년간 가용 연차일수 구하는 엑셀 함수
안녕하세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들은 직원들 연차 관리를 ERP나 자체 시스템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연사 사용 가능일수나 잔여일수가 자동으로 구해집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그런 연차 관리시스템이 없어서 엑셀이나 수기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각 직원들마다 1년간 사용할수 있는 연차가용일수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엑셀함수를 알려드립니다! 두둥! =IF(DATEDIF(B2, DATE(2024,12,31), "Y") 바로 이겁니다. B2는 입사일을 적어놓은 엑셀칸이고요. DATE(2024,12,31)은 올해같이 2024년이라면 2024년 한해의 연차사용가능일수를 구하고 싶을때 넣으면 되고, 내년이 되면 DATE(2025,12,31)을 입력하시면 되겠지요? 이마저 귀찮으시다면 DATE(2024,12,..
2024. 7. 1.
카드사 별 할부 무이자 혜택 정리 - 부가세, 종합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종부세 과태료 납입 수수료 부가가치세
안녕하세요. 세월과 세금은 피할 수 없죠. 무조건 신고해야하고 언젠가는 내야합니다. 국세청은 우리보다 항상 앞서가기 때문입니다. 법인사업자는 1월 4월 7월 10월 총 4번, 개인사업자는 1월 7월에 부가세 신고납부를 하고 있슴니다. 세무사 분들이 알아서 정리해주시겠지만, 보통 국세청 홈텍스에 들어가시면 '신고납부 - 세금납부 - 납부할 세액조회' 메뉴를 통해서 조회가능하시고 보통 그 메뉴에서 계좌번호를 발급받아서 납부가 가능합니다. 일부 납부를 하시려면 이번에 납부할 금액만 넣고 납부하기를 진행하시면 그 액수만큼 납부하도록 계좌번호를 발급해줍니다. 부가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기 위해서는 아래 링크로 가셔서 납부하실 수 있고, 아니면 영업점, ATM, 공과금수납기, ARS, 세무처 방문 등의 방법으로도 가..
2024. 2. 21.